일본 만화 탁음 표기, 발음 / 만화책, SNS 모음과 자음에 붙은 탁점(゛) 읽기 (예. な゛あ゛ん゛で゛だ゛よ゛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
본문 바로가기
공부/외국어 공부

일본 만화 탁음 표기, 발음 / 만화책, SNS 모음과 자음에 붙은 탁점(゛) 읽기 (예. な゛あ゛ん゛で゛だ゛よ゛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

by narau 2021. 2. 13.
반응형

얼마 전에 <귀멸의 칼날(鬼滅の刃)> 만화책을 봤어요.

재밌게 읽고 있던 중, 일반적인 일본어 교재에서는 볼 수 없었던 희한한 표기들이 눈에 띄었어요.  

 

아래 찍어둔 사진 「やってくれ゛たなぁ許さね゛ぇ」에서 볼 수 있듯이, 

본래 일본어 탁음이 되지 않는 레(れ)와 네(ね)에 탁점(゛; 텐텐てんてん/다쿠텐濁点)이 붙어 있었어요.

 

처음 보는 표기라 '이게 뭐지?' 싶었고, 어떻게 발음하는 건지 무슨 뜻인지 궁금해졌습니다.     

 

히라가나와 카타카나에 붙은 탁점

귀멸의 칼날 만화책

그리고 또 다음 장에서는 「どら゛ア゛ア゛ア゛ア゛ア゛ア゛!!」처럼 

히라가나와 가타가나에 탁점(゛)을 붙여서 표기하고 있었습니다.  

귀멸의 칼날 만화책

日本語のテキストにはない「ひらがな+゛」と「カタカナ+゛」でした。

니홍고노 테키스토니와 나이 히라가나 텐텐/다쿠텐(濁点) 토 카타카나 텐텐/다쿠텐 데시타

일본어 교과서에 없는 히라가나 탁점과 카타카나 탁점이었습니다. 

 

私は初めて見ましたので、本とネットで調べました。

와타시와 하지메테 미마시타노데 혼토 넷토데 시라베마시타

저는 처음으로 보았기 때문에 책과 인터넷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일반적인 일본어 탁음의 규칙

이런 예외적인 탁음들은 트위터 등에서 쓴 구어체 문장들에서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본 자료

인터넷 게시판(리뷰 등)에서도 이런 식으로 쓰는 경우들이 있었구요. 

인터넷에서 찾아본 자료

어떻게 발음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봤지만,

주로 느낌표를 동반하고 나오는 것을 봐서 대강 어떤 톤일지는 상상해볼 수 있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본 자료

그런데 탁음이 주로 유성음화(예. 쿠く→ぐ, 타た→다だ 등)해서 발음을 부드럽게 만들어준다고 생각해왔었는데,

네(ね), 레(れ), 라(ら), 아(あ), 응(ん), 요(よ), 오(お) 등을 어떻게 발음해야 한다는 건지 모르겠더라구요.  

  

인터넷에서 찾아본 자료

일본 위키피디아에 나오는 あ゛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았어요.  

온천의 야외 간판에서 욕실에서 편안해졌을 때의 목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이용 

아랍어의 유성 인두 마찰음 아인《ع》[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 

슬랭(속어, 은어)이나 만화 표현에서 사용되는 표기로 [ʕ]나 [ɦ] 발음 

버스 차고 등 연료탱크에 눈에 띄는 곳에 써서 인화의 위험성을 나타내기도 함 

 

..등의 경우에 사용하고 있다고 해요. 

 

이렇게 탁점이 붙은 이상한(?!) 모음들의 발음은 

 

アニメやSNSなどで見られる言葉で、声門の緊張を伴う発音です。

아니메 야 에스엔에스 나도데 미라레루 코토바데 세-몬노 킨쵸-오 토모나우 하츠온데스

애니메이션이나 SNS 등에서 볼 수 있는 말로, 성문(glottis)의 긴장을 동반하는 발음입니다.

 

즉, 성대를 긁는 듯한 마찰음을 묘사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あ゛あ゛あ゛あ゛ー!라고 표기된 경우, 목소리가 갈라지며 내는 "아아아아!" 소리라고 할 수 있고, 

ん゛는 [그으응]에 가까운 발음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성대 마찰음, 의미는 유지

그리고 발음과 표기만 달라졌을 뿐, 의미는 원래 문장과 동일합니다. 

 

 

가령, 제가 제목의 예에서 쓴 

"な゛あ゛ん゛で゛だ゛よ゛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お゛ー!!"의 경우, 

なあんでだよおおおおおおおおー!의 의미와 동일합니다. 

 

반응형

댓글